본문 바로가기
우주 탐사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허블의 차이

by Gold999 2025. 7. 17.

우주는 인류의 끝없는 호기심의 대상입니다. 그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수많은 망원경이 하늘을 향해 가동 중이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두 가지는 바로 **허블 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과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 JWST)**입니다. 이 두 망원경은 모두 NASA가 중심이 되어 개발한 거대한 우주 관측 프로젝트로, 과학적 가치뿐 아니라 대중의 인식 속에서도 상징적인 존재입니다.

 

우주 망원경 차이점1

 

그렇다면 이 두 망원경은 어떤 점에서 같고, 어떤 점에서 다를까요? 이번 글에서는 허블과 제임스 웹 망원경의 관측 범위, 기술적 차이, 위치와 궤도, 관측 대상, 임무 목표 등 여러 측면에서 구체적인 차이를 설명하겠습니다.


1. 관측 스펙트럼: 가시광선 vs 적외선

허블 우주망원경은 주로 자외선, 가시광선, 근적외선을 관측합니다. 이는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빛과 가까운 범위로, 은하, 성운, 별의 형성과 같은 천체의 시각적 구조를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허블은 수많은 고해상도 천체 사진을 찍으며 과학자들과 대중에게 큰 감동을 선사해왔습니다.

 

반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적외선(Infrared) 관측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적외선은 먼지와 가스를 통과하여 우주의 초기 모습이나 행성 대기의 화학 성분, 은하 형성 초기 단계 등을 파악하는 데 유리합니다.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동안 적색편이로 인해 파장이 늘어나는 현상을 감지하려면 적외선 기술이 필수적인데, 이 부분에서 제임스 웹은 탁월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2. 해상도와 주경 크기: 기술의 발전

허블 망원경의 주경(Primary Mirror)은 지름 2.4미터입니다. 지구 저궤도에 위치한 만큼 대기 간섭을 피할 수 있어 지상 망원경보다 훨씬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했지만, 현재의 기술 기준에서는 다소 작은 편입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은 주경 지름이 무려 6.5미터에 달합니다. 이는 허블보다 약 3배 이상 큰 면적을 자랑하며, 빛을 더 많이 모을 수 있어 훨씬 더 어두운 천체까지 관측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적외선 감지에 있어 이 넓은 주경은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우주 초기의 은하까지 포착이 가능합니다.


3. 위치와 궤도: 지구 근처 vs 라그랑주점

허블은 지구로부터 약 570km 고도의 저궤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덕분에 과거에는 우주왕복선을 통해 수리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했으며, 이 점이 장기 운영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제임스 웹 망원경은 **지구로부터 약 150만 km 떨어진 L2(라그랑주점)**에 위치합니다. 이 지점은 태양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으로, 관측 시 안정성을 유지하기에 유리합니다. 하지만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인간이 접근해 직접 수리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발사 전에 매우 정밀한 검수와 설계가 이루어져야 했습니다.


4. 관측 목표: 시공간의 경계를 넘다

허블은 다양한 천체를 관측하며 우주의 현재와 가까운 과거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행성, 별, 은하, 블랙홀 등 천문학의 전반을 폭넓게 탐사했으며, 지금도 과학적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제임스 웹은 보다 특정한 관측 목적을 갖고 출발했습니다. 대표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주의 첫 별과 은하 관측 (빅뱅 후 수억 년 이내)
  • 외계 행성 대기의 스펙트럼 분석 (생명 존재 가능성 탐색)
  • 별 형성 영역의 내부 관측 (먼지 구름 너머까지 탐사)

이처럼 제임스 웹은 우주의 기원과 생명의 가능성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우주 망원경 차이2


5. 수명과 비용: 미래를 위한 투자

허블은 1990년에 발사되어 현재까지 약 30년 이상 활동 중입니다. 여러 차례 수리와 업그레이드를 거치며 수명을 연장했으며, 여전히 귀중한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습니다. 총 개발 및 운영 비용은 약 100억 달러로 추산됩니다.

 

제임스 웹은 2021년 말에 성공적으로 발사되었으며, 초기 계획 수명은 10년 이상입니다. 현재까지는 계획대로 운영 중이며, 총 개발 비용은 약 100억 달러 이상으로 허블과 비슷하지만 기술 복잡도와 리스크는 훨씬 더 높았던 프로젝트였습니다.


6. 결정적인 차이 요약

구분 / 허블 우주망원경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발사 시기 1990년 2021년
관측 파장 자외선가시광근적외선 근적외선~중적외선
주경 지름 2.4m 6.5m
위치 지구 저궤도 태양-지구 L2 라그랑주점
관측 대상 다양한 천체 초기 우주, 외계 행성 등
수리 가능 여부 유인 수리 가능 수리 불가능
주요 목표 다양한 천문 연구 우주 기원, 생명 가능성 탐사
 

결론: 허블과 제임스 웹, 두 거장의 계승과 진화

허블 우주망원경이 **‘우주의 눈’**이라면,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시간을 거슬러 우주의 기원을 들여다보는 망원경’**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 둘은 경쟁 관계가 아닌, 서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며 천문학의 진보를 이끌고 있습니다.

 

허블이 우리에게 우주의 장엄한 모습을 보여줬다면, 제임스 웹은 그 장면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설명할 준비를 마쳤습니다. 향후 수년간 이 두 망원경은 동시대에 함께 존재하며, 우주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한층 더 깊이 있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마무리하며

과학의 발전은 기술이 아니라 호기심에서 시작됩니다. 제임스 웹과 허블, 두 망원경은 우리가 상상하지 못한 미래의 발견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블로그를 통해 이러한 우주 이야기들을 더 깊이 있게 풀어가고 싶다면, 앞으로도 이 카테고리를 구독해 주세요.

 

우주 망원경 차이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