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9 엔셀라두스와 유로파 – 얼음 속 생명 가능성 1. 생명의 정의를 다시 묻다 – ‘물이 있는 곳에 생명 있다’우리가 생명을 찾는 기준은 지구의 생명체에서 출발합니다. 생명의 존재를 위해 필요한 요소로는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의 물, 에너지 원, 유기물이 꼽힙니다. 과거에는 생명이 지구처럼 ‘적절한 온도와 대기를 지닌 행성’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최근 우주 탐사는 이 생각을 바꾸고 있습니다. 지구 바깥, 특히 얼음으로 덮인 위성들에서조차 내부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고, 그 환경이 생명체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안정적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면서 과학계는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서 있는 두 개의 위성이 있습니다. 바로 **토성의 위성 ‘엔셀라두스(Enceladus)’**와 **목성의 위성 ‘유로파(Europa)’**입.. 2025. 7. 19. 별은 어떻게 태어나고 죽는가 – 우주의 순환 이야기 1. 밤하늘의 별, 그저 빛나는 점이 아니다밤하늘을 수놓는 별들은 그저 멀리서 빛나는 점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내는 거대한 가스 덩어리입니다. 이 별들은 그 자체로도 거대한 핵융합 반응의 중심이며, 탄생부터 죽음까지 우주의 순환을 이끌어가는 중요한 주체입니다. 별의 일생은 마치 하나의 생명처럼 시작과 끝이 있으며, 그 크기와 질량에 따라 다양한 운명을 맞이합니다. 지금부터 우리는 별이 어떻게 태어나고 어떻게 죽는지를, 천문학적으로 탐색해 보겠습니다. 2. 별의 탄생 – 성운에서 핵융합까지별의 시작은 '성운(Nebula)'이라 불리는 거대한 수소와 헬륨 가스 구름입니다. 이 성운은 우주 공간에서 비교적 밀도가 높은 영역으로, 외부의 충격(예: 초신성 폭발이나 은하 충돌)에 의해 중력 .. 2025. 7. 19. CMB – 우주 배경복사의 의미 1.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 빅뱅과 최초의 빛우주는 지금으로부터 약 138억 년 전, **한 점에서 폭발적으로 팽창한 '빅뱅(Big Bang)'**으로 시작되었다는 것이 현대 우주론의 기본 전제입니다. 이 이론은 단순한 가설이 아니라, 수많은 관측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우주 배경복사(CMB: Cosmic Microwave Background)**는 가장 직접적이고 결정적인 증거입니다. 빅뱅 직후 우주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뜨겁고 밀도가 높았습니다. 수소와 헬륨 원자핵은 존재했지만, 자유로운 전자들이 주변에 흩어져 있어 빛(광자)은 이들과 계속 충돌하며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했습니다. 이 시기를 ‘플라즈마 상태’라고 하며, 우주는 마치 불투명한 스프처럼 빛이 갇혀 있던 .. 2025. 7. 19. 다중우주론 vs 끈이론 – 현대 우주론 비교 인류는 오랜 세월 동안 “우주는 하나인가?”라는 질문을 품어왔다. 과거에는 이 질문조차 철학적 상상에 불과했지만, 현대 물리학은 이 물음을 진지하게 탐구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만들어냈다. 대표적인 두 축이 바로 **다중우주론(Multiverse Theory)**과 **끈이론(String Theory)**이다. 이 글에서는 이 두 이론의 배경과 핵심 개념, 현재 과학계의 평가, 그리고 이들이 우주를 바라보는 방식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1. 다중우주론이란?다중우주론은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우주가 유일한 것이 아니라, 그 외에도 수많은 우주가 존재한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은 여러 과학적 접근에서 독립적으로 등장하는데, 크게 네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1) 인플레이션 다중우주1980년대 초 앨.. 2025. 7. 19. 소형 위성 큐브샛(CubeSat)의 혁신 – 우주 산업의 새로운 주인공 한때 위성은 오직 국가기관이나 거대 기업만이 보유할 수 있는 최첨단 기술의 산물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이 상식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소형 위성, 큐브샛(CubeSat)**입니다. 큐브샛은 작고 저렴하지만, 기능은 결코 작지 않습니다. 교육, 통신, 지구관측, 심지어 화성 탐사까지 큐브샛이 활약하지 않는 분야를 찾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큐브샛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우주산업을 바꾸고 있는지, 그리고 향후 어떤 혁신을 기대할 수 있는지 종합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1. 큐브샛(CubeSat)이란 무엇인가?큐브샛은 1999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과 캘리포니아 폴리텍대학(Cal Poly)에서 교육 및 연구 목적으로 제안된 표준형 소형 위성입니다. 정육면체 형태.. 2025. 7. 19. 우주비행사의 훈련 과정과 조건 – 인간이 우주로 가기까지의 모든 준비 우주를 여행한다는 것은 단순한 로맨틱한 상상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무중력 상태, 고립된 환경, 신체적 부하, 복잡한 장비 조작까지, 우주비행사는 극한의 상황에서도 침착하고 능숙하게 대응해야 하는 존재입니다. 그렇기에 이들은 일반적인 군사나 민간 항공 조종사와는 차원이 다른, 고난도의 선발 과정과 훈련 프로그램을 이수해야만 우주로 나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우주비행사가 되기 위한 자격 조건부터 실제 우주에 나가기까지의 훈련 과정을 총정리하여 소개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언젠가 우주로 나가는 꿈을 꾸고 있다면, 아래 내용을 꼼꼼히 확인해 보세요. 1. 우주비행사의 기본 자격 요건국가별로 우주비행사 선발 기준은 다르지만, NASA와 ESA, JAXA,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등의 기준을 종합하면 아.. 2025. 7. 19. 이전 1 2 3 4 5 다음